남해군1109 남해 유배문학관 울타리에 탱자나무를 심어 위리안치의 형태를 보여준다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 로 시작되는 약천 남구만의 시조 남해 출신이란다. 남해 노도로 유배 되었던 서포 김만중 벼훑이 : 옛날 나락 탈곡했던 도구 (벼이삭을 틈에 끼우고 잡아당겼겠지. 안 봤으니...) 가래 ( 오랜만에 보는 농기구라 반가워서..) 죽방렴 멸치어장에 박는 큰말뚝은 끝에 뾰죽한 쇠를 씌워 나무망치로 박았다고 한다. 두보 시를 베꼈다는데.. 지일강산려춘풍화(遲日江山麗春風花)라고 썼단다.'강산' 정도는 대충 때려잡겠는데 나머지 예술체는그런갑다 할 수밖에.. ^^ 2025. 9. 18. 9월 남해 2025. 9. 18. 배풍등 2025. 9. 16. 나도생강 2025. 9. 16. 고깔닭의장풀& 닭의장풀 고깔닭의장풀 닭의장풀 닭의장풀 고깔닭의장풀 2025. 9. 16. 털이슬 2025. 9. 16. 좀네잎갈퀴 2025. 9. 16. 주름조개풀 2025. 9. 16. 주름잎 외.. 참나래새 주름잎 주홍서나물 깨풀 모시물통이 덩굴팥 새삼 석류풀 애기땅빈대 쥐꼬리망초 이질풀 배초향 작살나무 나팔꽃 백양꽃 난쟁이바위솔 닥풀 고구마 2025. 9. 16. 백중 회향 2025. 9. 15. 너도방동사니 2025. 9. 15. 황화코스모스 2025. 8. 30. 칡 2025. 8. 30. 광릉용수염 & 고려용수염 광릉용수염 고려용수염 2025. 8. 21. 말벌&토종벌 꿀 따러 가야 할 벌들이 경계태세에 에너지를 낭비하고 있다.파리채로 때려잡고, 고무신을 벗어 때려잡는데도어디서 나타나는 지 말벌 4~5마리가 항상 주위를 맴돈다. 2025. 8. 21. 남해 용문사 2025. 8. 11. 수원고랭이 외 수원고랭이 고창고랭이 방울고랭이 기장대풀 꽃동무 2025. 8. 11. 누리장나무 2025. 8. 11. 7월 남해 2025. 7. 27. 개구리밥 2025. 7. 24. 7월 남해 2025. 7. 20. 파리매 2025. 7. 20. 개미탑 2025. 7. 20. 끈끈이주걱 2025. 7. 20. 좀고양이수염 2025. 7. 20. 7월 남해 2025. 7. 9. 당광나무 2025. 7. 9. 장마 전일 2025. 6. 22. 합다리나무 2025. 6. 14. 털마삭줄 2025. 6. 5. 이전 1 2 3 4 ··· 37 다음